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최대 50만원 지원 혜택 신청 하기

안녕하세요 제이윈입니다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최대 50만원 지원 혜택 신청 하기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어려운 시기, 버티는 것만으로도 힘든데 각종 공과금과 4대 보험료까지... 사장님들의 어깨는 늘 무겁기만 합니다. 하지만 정부가 이런 사장님들의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기 위해 아주 반가운 소식을 발표했습니다. 바로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지원 사업입니다.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사이트


소상공인 크레딧 신청 바로가기



크레딧 신청 바로가기

1.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29일,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지원사업'의 현장 점검 결과를 발표하며 사업의 원활한 진행 상황을 알렸습니다. 신청 시작 14일 만에 전체 지원 대상 중 약 79%가 신청을 완료했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사장님들이 이 사업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단순히 50만 원이라는 금액만 보면 크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금액은 사업 운영에 필수적인 공공요금 (Public Utility Bills)4대보험료 (4 Major Social Insurance Premiums) 납부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더욱 큽니다. 

2. 지원 대상

  1. 개업 시기 : 2025년 5월 1일 이전에 사업을 개업한 사장님.

  2. 연매출액 : 2024년 혹은 2025년의 연매출액이 0원 초과 3억 원 이하인 소상공인.

3. 신청 방법 완벽 정리 : 3분 만에 끝내는 법

  1. 사이트 접속 : '부담경감크레딧.kr'에 접속합니다.

  2. 본인 인증 : 휴대폰 본인 인증으로 신분을 확인합니다.

  3. 정보 입력 : 사업자등록번호와 매출액 등 필수 정보를 입력합니다. (별도의 서류 제출이 필요 없으니 정말 간편합니다!)

  4. 카드 선택 : 지원금을 지급받을 신용·체크·선불카드를 선택합니다. 기존에 소상공인 페이백 사업에 참여했던 카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신청 완료 : 모든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 버튼을 누르면 끝입니다!

4. 신청 후, 크레딧은 어떻게 사용하나요?

  • 사용처 : 공공요금(전기, 가스, 수도)과 4대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납부

  • 사용 방법 : 지정된 카드로 요금이나 보험료를 납부하면, 해당 금액이 크레딧에서 차감되는 방


    소상공인 택배, 배달지원 바로가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민생지원금 사용처 총정리 - 어디서 어떻게 쓰나? (신청 방법 포함)

차세대 태양광 혁명, 실리콘 탠덤 태양전지 기술 심층 분석